본문 바로가기

국어문법6

국어의 품사 분류 (핵심 요소 정리) 품사 분류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에 대해서 학습해 봅시다. 1. 품사 분류의 기준 2. '체언'의 특징: 조사와의 결합 3. 동사와 형용사 구별 방법 1. 품사 분류의 기준 우리말에는 셀 수 없이 많은 단어가 있습니다. 국어사전만 보아도 단어의 수가 얼마나 많은지 느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단어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나눈 것이 '품사'입니다. 이때 일정한 '기준'에 해당하는 것이 3가지 있습니다. 이 기준은 '형태, 기능, 의미'이며 각각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1) 형태 '형태가 변하냐'를 말합니다. 형태가 변한다는 건 '동사/형용사'처럼 활용하며 형태가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먹다, 먹고, 먹으니...'등은 어간 '먹-'은 그대로이지만, 뒤에 어미가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합.. 2021. 2. 7.
'실질형태소-형식형태소' / '자립형태소-의존형태소' 1) 형태소의 정의 : 뜻을 가진 최소의 단위 *음운과 비교: '음운'은 뜻을 구별하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소리'의 단위이기 때문에 뜻을 가지지 않습니다. 형태소가 뜻을 가진 단위라는 점과 차이가 있습니다. 2) 형태소의 예 예시: 나는 손만두가 좋다. 위의 예시에서 뜻을 가진 최소의 단위를 찾으면, '나 / 는 / 손 / 만두 / 가 / 좋 / 다' 가 됩니다. 3)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 문법은 개념을 중심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즉, 개념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알아야 합니다.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를 공부하려면 형태소는 형태소인데 '실질', '형식'으로 나누어진다라는 것을 파악해야 하고, 무엇이 실질이고 형식이냐를 알아야 합니다. 무엇이 실질이고 형식이냐. 그것은 '의미'입니다. 의미가 .. 2021. 2. 5.
ㄴ첨가 쉬운 이해 'ㄴ'첨가는 'ㄴ'이 첨가되는 현상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어근과 어근이 만날 때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ㅣ'나 반모음 y로 시작할 경우 ㄴ이 첨가됩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여름, 신여성, 맨입, 식용유, 콩엿 등입니다. 각각 [한녀름], [신녀성], [맨닙], [시굥뉴], [콩녇]으로 발음됩니다. 그럼 문제를 풀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느냐를 살펴보겠습니다. 1. 둘로 쪼갠다 2. 앞말의 종성과 뒷말의 시작을 확인한다. '신여성'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규칙에 따라 둘로 쪼갭니다 : 신/여성 '2'규칙에 따라 앞말 종성과 뒷말의 시작을 확인합니다 : ㄴ / ㅕ(y) 1,2를 바탕으로 ㄴ첨가가 나타나는 환경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음운의 변동은 반복된 연습이 중.. 2021. 1. 28.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구별하기 '합성어'를 배우게 된다면 반드시 나오는 문제 중 하나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를 구별하는 것이 있다. 여기에서는 이 둘을 쉽게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말해보고자 한다. 먼저 알아야 할 개념은 '통사적'이라는 말이다. '통사적'이라는 말은 '문장 내 요소의 결합 구조'이다. '통사적이다'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인 결합 구조를 따르고 있다는 걸 의미한다. 우리의 일반적인 말하기를 떠올리면 쉽다. '밥(을) 먹을 곳'이라는 말에서 체언인 '밥'에는 조사가 결합되는데 생략도 가능하다. '먹-'어간에는 어미 '-을'이 결합된 후 '곳'이 나온다. 이때 어미는 생략되면 '*먹 곳'과 같이 말이 되지 않으므로 비통사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가 일상에서 말하는 일반적인 문장의 구조가 '통사적'이라고.. 2020. 12. 16.